본문 바로가기

작가노트/사상 Thought14

호킹, 아인슈타인, 그리고 노벨상 스티븐 호킹 (1942년 1월 8일 - 2018년 3월 14일) 의 사망은 물리학/천문학계 뿐만 아니라 이 시대를 대표하는 큰 별이 진 사건이라 많은 언론기관의 보도가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호킹의 발자취 근처에도 못간다고 생각하기에 그의 업적을 심각하게 고민해본 적이 없으나 그가 천재였다는건 이의가 없다. 천재하면 언제나 떠오르는 이미지는 역시나 아인슈타인 (Albert Einstein, 1879년 3월 14일 - 1955년 4월 18일, 호킹과 아인슈타인은 둘다 76년을 살았다) 인데, 개인적인 호기심으로 가끔 찾아보는 아인슈타인의 위키 항목을 볼때마다 아쉬운 점이 있어 이 글을 쓰게 되었다. 호킹과 아인슈타인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업적면에서 비교했을 때), 아인슈타인은 호킹이 가지지 못한 .. 2018. 3. 19.
천재의 직업, 천재의 모방 뭔가를 따라한다는 게 사실 나쁜게 아니다. 따라쟁이라는 비난을 들을지언정, 그리고 따라함의 미학은 존재하지 않을 지언정 모방은 역사적으로 반복되어 왔다. 많은 사람들이 가지는 의문일지는 모르겠지만, 난 세상에 태어나 어느정도 똑똑하다고 (즉, 천재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진) 인정을 받은 사람들이 어떤 직업을 가져왔는지 유심히 고민해 본 적이 있다. 학문적인 성과만이 아니라도 천재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직업군에서 가장 또렷히 드러난다. 학문: 수학, 물리학, 철학, 문학 (특히 fiction 즉, creative writing) 예술: 음악 (특히 작곡), 미술 현대적인 것들로 한정해 본다면, 학문에 관해서는 생명과학 (특히 이론적 바탕이 있는 분자생물학 뇌과학 등) 경제 또는 재무 (새로운 경제이론을 내놓는.. 2017.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