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가노트246

2014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익스플로어토리움 (Exploratorium, San Francisco, California) 어린이 박물관 또는 과학박물관 (Science Museum) 정도로 인식이 되는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특별한 박물관인 익스플로어토리움 (Exploratorium)은 여러번 가볼만 한 곳이다. 예전에 있던 장소에서 지금의 장소로 옮긴 이후로 훨씬 더 매력이 있는 박물관이 된 것 같다. 둘 다 가봤는데 각각의 장소에 대한 매력이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지금 있는 곳에 있는 식당/카페가 상당히 마음에 든다. 2025. 3. 29.
2014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Asian Art Museum, San Francisco, California) 샌프란시스코의 문화시설이 몰려있는 시빅센터 (Civic Center)쪽으로 가면 유럽풍의 시청 건물과 그 옆에 있는 여러 문화시설이 있다. 그 중에서 아시아 미술관 (Asian Art Museum)은 일반 박물관이 한 섹션을 할애해서 전시를 하는 아시아 관련 물품들이 아예 따로 건물 하나에 있는 박물관이다.  건물의 외양은 이러하다.  상당히 잘 꾸며놓은 내부의 모습 중 하나. 2025. 3. 29.
2014 피렌체 아카데미아 미술관 (Galleria dell'Accademia, Florence Italy) 이탈리아의 피렌체 (Firenze)에 가면 르네상스의 근원 도시 답게 아름다운 것들이 너무 나도 많이 있지만 그래도 가장 유명한 명물이라면 도시 곳곳에 있는 다비드상일 것이다. 다비드상의 원본이 있는 곳이 아카데미아 미술관인데 난 2014년이 두번째 방문이었다. 워낙에 유명한 곳이라 예약없이 가면 줄이 길다. 적당히 이른 시간에 가면 줄이 길어도 꽤 빨리 줄어서 그래도 괜찮았다.  기차역에서 미술관으로 걸어가는 길도 예쁜데다 미술관 안을 들어서면 보이는 "거대한" 다비드 상이 떠억하고 있어서 시선을 사로잡는다. 내가 방문한 당시는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어서 사진으로는 못 담아왔다. 2025. 3. 29.
2014 베네치아 아카데미아 미술관 (Gallerie dell'Accademia, Venice Italy)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Venezia)를 여행하고 있을 때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을 특별히 볼 생각은 없었지만 아마 깨끗한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한 마음도 있었기 때문에 지나가다가 보였던 미술관인 베네치아 아카데미아 미술관에 들어갔다. 미술적인 스타일은 예상했던 대로 였는데 그래도 이 미술관이 괜찮았다고 기억하는 이유는 그 당시의 베네치아의 모습을 담음 그림들이 많이 있어서였다. 미술이 아닌 역사에도 관심이 많기 때문에 역사적인 관점으로 보니 눈길이 많이 가는 편이었다. 2025. 3. 29.
2014 캘리포니아 샌호세 미술관 (San Jose Museum of Art, San Jose, California) 캘리포니아의 샌호세 (San Jose)를 사실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 지역은 실리콘밸리로 워낙 유명해서 실리콘밸리와 가장 가까운 "대"도시인 샌호세는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산호제의 다운타운 쪽으로 가면 여러 박물관들이 있는데 그 중에 샌호세 미술관 (San Jose Museum of Art)이 생각보다 볼만하다. 미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라면 꼭 한 번 가보는걸 추천한다. 다운타운 자체도 꽤 아기자기하게 예뻐서 한적한 시간을 보내기에 좋다. 2025. 3. 29.
2013 인디애나 인디애나폴리스 미술관 (Indianapolis Museum of Art, Indianapolis, Indiana) 인디애나폴리스에 있을 때 떠나기 전 방문한 미술관이 인디애나폴리스 미술관 (Indianapolis Museum of Art)인데 방문했을 시간에 사람이 많지 않았던 기억이 있다. 오리지널이라는 LOVE sculpture도 있고 미술관의 소장품도 꽤나 볼 만 했다. 맛집으로 따지자면 이 미술관 때문에 꼭 인디애나폴리스에 갈 일은 없겠지만 이미 인디애나폴리스를 여행하는 중이라면 한적한 시간을 미술품 감상과 함께 즐기고 싶다면 추천하는 곳이다. 2025. 3. 29.